자연속에 묻혀 살며/닭기르는 재미

플리머 드록

청룡산삼필봉 2011. 2. 1. 11:45

20. 플리머드록종(Plymouth Rock)

업데이트
2011.01.30 14:22
참여저자
뷰티대표 함안 더보기
덧글
바로가기
책갈피

    플리머드록종(Plymouth Rock)

     

    1) 기원 및 개량역사

    원산지는 미국 메사츄세스지방이다. 대표적인 내종은 백색플리머드록종(White Plymouth Rock)과 횡반플리머드록종(Barred Plymouth Rock)이다. 백색플리머드록종은 횡반플리머드록종에서 돌연변이로 생긴 내종으로서, 육용계의 생산시 어미계통으로 많이 쓰이며, 횡반플리머드록종은 난용계의 생산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1909년 한국 중앙회가 일본으로부터 횡반 및 백색 플리머드록종을 도입하여 1910년 농사시험장(권업모범장)에서 사육하였으며, 생산가치가 풍부한 품종으로 인정하여 횡반플리머드록종을 장려종으로 결정하였다.

     

    2) 일반 특성

    육용종처럼 체형이 크고, 체질이 강건하며, 모든 풍토에 적응하는 성질이 있고, 케이지사육 및 방사에도 적당하다. 볏은 작은 홑볏이고, 귀뿔은 적색이며, 고기/피부/정강이는 황색이다. 깃털이 풍부하며, 육추를 잘하고 多産이다.

     

    3) 내종 및 특성

    깃털의 색에 따라 횡반종/백색종/담황색종/銀色條斑種(Silver-penciled)/파트리지종(Partridge)/콜럼비아종(Columbian)/청색종 등 7가지의 내종이 있다.

    ① 횡반종 : 횡반종은 가장 오래된 내종으로서, 1850년 도미니크종(Dominique)을 부계로 흑색코우친종(Black Cochin), 흑색자바종(Black Java)을 모계로 하여 교배된 품종이다. 특징은 깃털이 가로지른 흑색과 백색의 띠무늬를 가지고 있다.

    ② 백색종 : 횡반종의 돌연변이에 의하여 생긴 품종이데, 원래는 劣性白色이었으나 優性白色으로 개량되어 육계생산의 모계로 이용되고 있다.

    ③ 담황색종 : 진한 황갈색을 띠며, 볏/안면/고기수염/귀뿔의 색은 밝은 적색이다.

    ④ 은색조반종 : 흑색과 백색의 대조가 두드러져 매력적이다. 등/가슴/몸통/날개/허벅지에 있는 각 깃털은 세 개 또는 그 이상의 뚜렷한 가는 무늬(penciling)을 가지고 있다.

     

    4) 능력

    표준체중은 암컷이 3.5kg, 수컷이 4.7kg이며, 난중은 55~60g, 초산일령은 180~210일, 연간산란수는 200개 정도이다.

     

    5) 실격조건

    정강이나 발에 약간의 솜털이나 깃털이 있으면 실격이다. 다리의 색이 노란색이외의 색, 귀뿌리의 색이 흰색이면 실격이고, 횡반플리머드록의 경우 이 내종 고유의 색이 아닌 경우는 실격이다.

     

     

     

     

     

    A trio of Buff Plymouth Rocks
    Photo courtesy of Richie Chiger

    A six-month-old Barred Rock cockerel from Uruguay

     

    A trio of Buff Plymouth Rocks

     

    "Amanda," a White Rock hen
    Photo courtesy of Bill and Sue Tivol

    My Silver Pencilled Rock pullet "Etchings"

    A Columbian Plymouth Rock flock
    Photo courtesy of Tom Richardson

    A Silver Penciled Rock cockerel

    A six-month-old Barred Rock cockerel from Uruguay

     

    Five-day-old Barred Rock chicks

    Partridge Rock chicks
    Photo courtesy of Mckinney & Govero Poultry

    A White Rock ch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