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 GMO식품(유전자변형식품)의 피해사례와 제품들 |
---|
- 글쓴이: 비익조(정옥봉)
- 조회수 : 99
- 08.06.24 19:03

곧은터님들 미국에서 대량으로 GMO옥수수가 수입되었습니다 곧은터 많은 님들께서는 직접 농사 짓거나 회원 농산물을 구입하여 드시지만 우리가 알게 모르게 GMO식품을 섭취하고 있습니다 그렇기에 우리 님들이 알고는 계시라고 GMO관련 자료를 올립니다
유전자 조작 식품으로 인한 피해 사례
1989 L-트립토판사건 미국에서 GMO미생물로 만든 식품첨가물이 들어간 제품(일본 소와덴코 제조)을 먹은 그 중 38명이 사망했으며 1,543명의 환자 발생, 약 6,000명 정도의 피해자가 더 있을 것으로 추정
1996 GMO콩섭취후 알레르기 발생 브라질너트 유전자를 삽입한 콩을 먹은 사람들에게서 알레르기가 유발되어 미국 파이오니어 하이브레드사가 제품개발을 중단함
1998. 8 영국 로웨트연구소 GMO감자 연구 결과 발표 영국 로웨트연구소 푸스타이 박사의 유전자조작감자를 먹인 쥐 실험에서 쥐의 면역 체계와 질병 저항력이 크게 떨어지고 심장과 뇌를 포함한 주요 장기의 크기가 축소되는 부작용이 발생. 조사 발표 후 푸스타이 박사는 연구소에서 해고
1999. 1 독일 연구소 GMO식품 연구결과 발표 독일 과학자 유전자조작식품으로 인하여 항생제 내성을 갖는 슈퍼균이 발생하여 장 내에 잔존할 가능성이 존재한다는 컴퓨터 모의실험 결과 발표
1999.5 미국 코넬대학 연구소 GMO 옥수수의 독성 단백질에 대한 실험 발표 나비의 유충들이 유전자 변형 옥수수의 꽃가루가 묻은 식물의 잎에 붙어 자란 두 종류의 나비가 75% 감소했고 이는 지엠작물에서 만들어 내는 독성 단백질의 영향을 주었다고 발표
1999. 5 영국의료연합(BMA) GMO식품 규제를 요구하며 성명서 발표 영국 의료연합 유전자조작식품 속의 항생제내성 표시유전자가 인체 내 항생제 내성을 키움으로써 건강상의 위협이 되고 있기 때문에 규제가 필요 하다는 성명을 발표함
1999.5 영국왕립조류협회 GMO 안정성 연구결과 발표 1999.5 스코틀랜드 애버딘대학 GMO감자 테스트 결과 발표
1999.7. 미국 USDA 1997-1998 기간 동안 GMO 콩, 옥수수, 면화를 심었으나 생산량이 늘지도 않았고 농약사용량이 줄지도 않았다고 발표
1999.8. 미국 아리조나 주립대 BT면화에 대해 솜벌레가 내성을 가진다는 연구결과 발표
1999.9.30. 영국 정부 GM 작물의 꽃가루가 4.5km 밖까지 이동할 수 있음
1999.10 스코틀랜드 애버딘대학 GMO 감자 독성 단백질 연구 결과 발표
1999.12.1. 미국 뉴욕대학교 Bt 옥수수의 Bt 독성이 뿌리를 통해 토양 속으로 스며들어감을 밝힘
1999.12.2. 미국 퍼듀대학교 GM물고기 한 마리가 40세대 내에 물고기 무리 전체를 절멸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는 모의실험결과
2000.3. WWF GMO가 농약 사용량을 줄이지는 않는다고 발표
2000.5. 네브라스카 주립대 2년 간의 연구 결과 GMO 콩의 수확량이 일반콩 수확량보다 적다는 결과를 얻음
2000. 5 독일연구소 GMO유전자 인간과 동물에게 전이 가능성 입증 독일 예나대학 유전자조작 유체의 꽃가루를 먹은 벌의 장 속에서 유전자조작된 DNA가 검출됨으로써 GMO속의 유전자가 이를 섭취한 동물과 사람에게 전이될 가능성 입증 2000.8. 미국 아리조나주립대 Bt 옥수수의 Bt 독성이 Monarch 나비유충에 치명적임을 재확인
2000.8. 영국 University of East Anglia GMO 작물은 새들의 개체 수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 보고
2000.10. the Advisory Committee on Animal Feeding Stuffs GMO 작물의 유전자가 그것을 먹은 동물의 몸속에 전이될 가능성이 있음을 보고 GMO옥수수를 먹인 닭들이 보통 옥수수를 먹인 닭들보다 2배 많은 폐사 확인
2002.1.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 무 실험을 통해 수퍼잡초의 위험성이 몇 세대 동안 계속된다는 사실을 입증
어린아이들에게 GMO 식품을 먹이는 것은 어른들이 먹는 것보다 훨씬 더 위험함을 경고 2002.2. 영국 University of Maine GMO 작물이 교차수분을 통해 유기농작물을 오염시킨다는 연구결과 발표 2002.3. the World Conservation Union GM 농작물이 동물 및 식물의 다양성을 위협하고 축산비용도 증가시킬 것이라고 발표
2002.3. the European Environment Agency GM 작물은 필연적으로 유기농작물을 오염시키고, 수퍼잡초를 만들며 야생식물을 멸종시킬 것이라고 연구 결과 발표
GMO옥수수를 먹인 닭들이 보통 옥수수를 먹인 닭들보다 2배 폐사 확인
2002.6. 중국 the Nanjing institute of environmental sciences, part of the Chinese government's environmental protection administration GM 면화는 결국 환경을 훼손하고 해충은 내성을 가지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는 연구보고
유전자조작농산물을 장의 일부를 절개한 사람 7명에게 먹인 결과 3명의 장내 박테리아에서 살충성 유전자가 검출되었음. 2002.8. 미국 Pew Initiative on Food and Biotechnology 유전자변형 식물들이 그들의 야생종과의 교차수분시 환경적 위협을 초래할 수 있음 증명
2002.12.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립대 연구팀 면화를 먹고 자라는 벌레가 해충저항성 옥수수를 먹고 해충저항성을 가지게 되어 해충저항성 면화도 먹을 수 있게 됨 2003.1. 미국에서 "슈퍼 잡초" 발견 제초제에 대한 내성을 갖춘 유전자조작 농산물 재배지에서 비슷한 내성을 지닌 ‘슈퍼 잡초’가 등장. 미국 동부 델라웨어주 유전자조작 콩 재배지에서 2000년 처음 발견됐으며 메릴랜드주, 캘리포니아주, 테네시주 서부와 중서부 옥수수 곡창지대인 인디애나주와 오하이오주 등으로 확산
2003.3. scientists at Imperial College London and the Universidad Simon Rodrigues in Caracas, Venezuela 살충성 GMO 농산물이 오히려 해충을 조장한다는 연구결과가 발표, 해충이 그 독소를 식량으로 이용하고 있으며 농작물이 해충을 조절하는 것이 아니라 살아남는데 도움을 주고있다는 연구결과 발표
2003.5. ActionAid GM 작물은 제 3세계의 가축을 위협하며, 세계의 기아해결에 도움을 주지 않는다고 연구 결과를 발표 2003.7. 하와이 GMO파파야 재배 거부 사건 GM 파파야는 링스팟 바이러스에 저항하는 유전자 변형 파파야로 산출량에 막대한 손실을 일으킬 수 있는 질병의 위험이 있어. 파파야 작물에 GM 파파야가 오염되어 있는 것을 발견한 하와이 농부들이 GM 파파야 재배를 거부
GM 작물은 쉽게 유전자가 퍼져나가며 야생식물의 생존을 위협한다. GM 작물은 위험성을 가지며 야생 개체군을 10-20 세대 내에 없앨 수 있다고 발표 GM밀을 재배하면서 라운드업레디제초제를 뿌릴 경우 토양 속의 병원균의 증식시키기 때문에 위험하다는 연구결과 발표 북부이탈리아에 사는 농부들은 그들이 사다 심은 전통 옥수수종자가 유전자변형 옥수수로 인해 오염
미국에서 스타링크가 중지된 지 거의 3년쯤 됐지만 제분업자들이 선적하는 과정에서 여전히 GM 옥수수가 발견. 제분협회 관계자는 GM 옥수수를 매주, 혹은 매일 목격 2003.8. 그린피스, 지구의 벗 스페인에서 GM 작물의 재배가 유기 농작물에 오염을 야기시킨다는 것과 GM작물이 적은 산출량을 내며, 이윤이 과장되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
2003.8. 일본 후생성 라운드업레디콩의 안전성 평가는 콩에 라운드업레디 제초제를 뿌린 후 그 영향까지 평가해야 완전한 것이며 몬산토가 행한 안전성 평가는 불완전한 것이라고 지적 2003.9. 캐나다 성명서 미국의 농산물은 세계시장에서 거절당했고, 비용은 상승했으며, 유기농민들의 가축과 전통적인 기술을 사용한 작물은 GM 오염물의 위험가능성에 노출되어있다. 또한 독성 화학물질이 슈퍼잡초의 성장을 포함하여 재개되었다. 이것은 야생식물이 GM 작물로부터 제초제 저항성 유전자에 오염된 결과다
GM 작물이 있는 들판에서 모은 생물체의 수는 보통 작물이 심어진 곳에서 모은 생물체의 개수보다 적은 수였으며, 이것으로 보아 GM 작물에 사용한 제초제가 농장에 있는 야생동물에 해를 끼친다는 연구결과 발표 글리포세이트 제초제 사용과 푸사리움에 의한 마름병의 증가에 명백한 연관성 발표, GE 작물에 제초제를 사용하는 것이 부분적으로 푸사리움 마름병을 증가시킨다고 지적 2004년 노르웨이의 카리에트로비크 박사 필리핀 민다나오 섬의 지엠옥수수 재배 농장 부근에 사는 농부들이 발열, 호흡기 질환, 피부장해 등을 겪고 있음을 발견. 처음엔 전염병이라고 생각했으나 지역을 벗어나면 회복되기에 연구해보니 증세가 꽃가루가 날리는 시기와 겹치고 이상을 보이는 항체도 지엠옥수수와 관련된 것으로 분석
운반중 떨어진 GM유채, 도로가에서 자생, 농림수산성 농림수산기술회의사무국은 2004년 6월 29일, 원재료용으로 수입된 유전자재조합 서양유채가 수송과정 중에 떨어져 국내 일반 환경에서 자생하고 있음을 확인 중국산 쌀 속에 GMO 쌀이 섞여있음을 발견
몬산토사에서 2002년에 실시한 쥐실험 결과 유전자변형 옥수수를 먹인 쥐들의 콩팥 크기가 그렇지 않은 쥐들에 비해 작았고 혈액 성분 변이가 일어났다는 것이 뒤늦게 밝혀짐
2007 인도에서 유전자조작(GM) 목화를 섭취한 가축이 사망했다는 주장 제기 인도의 남동부에 있는 안드라프라데시(Andhra Pradesh)주에서 목화의 수확이 끝난 땅에 방목한 양, 염소, 소가 병이 들고 사망했다는 보고가 들어왔다” 며 “새로운 농사철부터 유전자조작 Bt 목화 종자의 판매를 중단시켜 줄 것을 농업국에 요청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또한 데칸고원 가운데 있는 도시 하이데라바드(Hyderabad)의 양치기와 염소치기 등은 “3년 연속 가축들이 계속 죽어가고 있다”면서 “즉각적인 조치를 취해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안드라프라데시주 양치기 및 염소치기 조합 대표인 자말라이아(Jamalaiah)는 “유전자조작 Bt 목화가 없는 땅에 방목한 가축들은 아무 문제가 없다. 오로지 유전자 조작 Bt 목화를 먹은 양과 염소들만 죽었다”고 말했다. 아울러 그는 “우리들만 이러한 주장을 하는 것이 아니다. 심지어 축산국과 수의사들도 정부 당국에 똑같은 보고를 했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농업국은 가축의 사망과 유전자 조작 Bt 목화의 관련성에 대한 독자적 연구를 수행하겠지만, 사전예방적 조치의 일환으로 유전자 조작 Bt 목화 종자의 판매를 금지하는 것은 곤란하다고 밝히고 있다. 한편 유전자조작(GM) Bt 목화는 고초균(Bacillus thuringiensis, 바실리우스 투린지엔시스)에서 유래한 살충성 단백질로 목화 다래벌레 등의 해충들을 죽이는 기능이 강화된 목화종자이다. 유전자조작(GM) 옥수수에도 고초균(Bt)이 삽입된 종자가 개발되어 널리 재배되고 있다. --------------------------------------------------------------------------------- <국내에서 GMO로 의심되는 식품목록>
gmo 원료가 섞인 제품
-------------------------------------------------------------------------------------------- 유전자조작 옥수수 수입 반대 국민연대는 유전자조작 옥수수가 수입되기 시작한 지난 5월부터 국내 식품업체 47곳을 대상으로 이를 사용하지 말 것을 촉구한 결과 12개 업체로부터 동참하겠다는 답변을 받았다고 4일 밝혔다. |
'건강을 위하여 > 건강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퍼온글>모기나 벌레에 물려 미치도록 가려울때 (0) | 2010.07.29 |
---|---|
대장암 민간요법(이질풀,현미,고구마,엉겅퀴,양다래,줄풀...)-[퍼온글] (0) | 2010.04.21 |
비염치료에 좋은것들 (0) | 2009.09.18 |
생로병사118(영상물) (0) | 2008.10.27 |
<퍼온글>비염과 코피나는데는? (0) | 2007.1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