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비료를 만들어 써야만 하는 이유
신토불이 참 좋은 말인데 언젠가부터는 쓰지 않고 있는 용어 인것 같습니다
우리가 농사를 지으면서 쓰는 농자재 (농약,비료) 가 우리나라에서 만들어 지는것 이 거의
없고 전부가 다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는지요 ?
하물며 우리가 쓰는 비료 겉표지를 유심히 본적은 있는지요 ? 다중국산 입니다
우리의 먹거를 생산하는 농자재를 수입에 의존하는 한 농민들이 수익을 낸다는 건 참 여려운 현실입니다
이제부터라도 과감히 농약 비료를 자급자족하는 시스템을 만들어 보시길 권해드립니다
아래글은 한번 쓴 글인데 못보신분을 위해서 다시 올려드립니다
화학비료가 만들어지기 전에는 산야초,곡식의 부산물,가축의 배설물,인분등이 비료의 전부
였지만, 산업이 발전 하면서 화학비료 산업도 같이 발전하게 되었다. 이로써 화학비료 가 생산량
증대에는 많은 기여를 하였지만,오남용으로 인하여 작물이 요구하는 시비량보다 많은 양이 축적되어
염류장해 및 농도장해 그리고 수질오염을 나타내는 경우를 쉽게 찿아볼수 있다
가장 안타까운 일은 농민이 비료를 정확히 알지 못하고 사용하는데 있다.작물을 재배함에 있어
비료의 특징 ,시비량,사용방법,효과등을 정확히 숙지하여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시비를 해야 영농비를
줄이면서도 친환경농업을 할수 있다 .사람에게 필요한 것은 식료(식품)라 하고 가축에 필요한 것은
사료라 하고 식물이 필요로 하는것은 비료라 하는데 우리는 비료에 대해서 얼마나 알고있을까
우리가 쓰는 화학농약과 화학비료 대부분이 수입에 의존 하고 있다는 사실을 아는 가 ?
화학농약의 경우엔 우리나라 농약회사들이 원액을 만들지 못하고 원료를 수입해서 국내에선
카피 만 해서 판매를 하고 있다 . 현재 시판되고 있는 1,700여종의 농약중 국내 자체 개발한 원료는
하나도 없다 . 비료의 3요소인 질소.인산.칼륨도 국내생산은 없고 원료를 수입 해서 사용
한다 . 공기중 에는 질소가 78% 들어있고,산소는 21% 그리고 이산화탄소 기타 가스가 소량
포함되어 알고보면 우리가 호흡하면서 마시는것은 산소라기 보다는 오히려 질소인 셈이다
탄수화물에 질소 성분이 들어가면 단백질이 된다.피가 되고 살이 된다.피도 살도 단백질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우리의 허파가 질소를 잡을수만 있다면 일부러 고기를 먹지 않아도 허파 속에서 단백질이 저절로 만들어 질수 있을 것이다 . 그러나 질소는 가스상태로 들어와 그대로 나가버릴 뿐 털끝 만큼도 우리
몸속에 남지 않는다 . 비료로 쓰는 질소질의 원료는 공기다 . 그리고 질소비료를 만들기위한 암모니아
가스도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ㅗㅗㅗㄹㄹㄺㄱ
공기중의 질소를 잡아 질소비료로 만드는 데는 많은 에너지를 써야한다 .질소의 고향은 하늘이라
볏짚을 태우면 볏짚속의 질소는 연기가 되어 제 고향인 하늘로 날아가고 만다. 볏짚을 태워서 거름을
한다는 생각은 아주 잘못된 것이다 .
식물이 먹는 14가지 성분중 양분 중에 양분,비료 중에 비료는 질소 성분 이다 .14가지 성분을 다주어도
질소를 빼면 비료를 안 준 것과 거의 같고 위의 성분을 다 빼고 질소만 주어도 다 준 것의 70-80% 까지는 소출을 얻을수 있다. 문제는 질소를 주면 병해충이 몰린다는 점이다 .이 사실은 질소가 얼마나 중요
한가를 말래 주는 또 다른 증거이다 . 혹자는 질소비료를 많이 주면 식물이 웃자라 병해중이 먹기 쉬운
때문이라고 말하지만, 맞는 말이긴해도 100% 맞는 답은 아니다
생명체는 탄수화물만으로는 세포를 만들수 없다. 질소가 들어 가야 단백질이 많들어지고 ,단백질이
있어야 세포가 만들어진다. 질소가 있어야 생식도 가능해진다.그걸 병균도,벌레도 다 알고 있다
때문에 질소가 더 많이 들어있는 식물에 몰리는 것은 당연하다 .그런 면에서 보면 병해충도 인간
못지않게 예민하고 지혜롭다.사람도 성장기에 단백질을 충분히 섭취하지 못하면 키가 작지 않은가 ?
그래서 질소는 단연 양분중에 양분,비료중에 비료다
칼리(K)의 고향은 깊은 바다속이다 .물에 녹은 염화칼리가 바다밑에 가라앉아 있다가 땅이 솟아오를
때 땅위로 올라온다 .이것을 파서 만든 것이 칼리비료다 . 물론 바다속에서 캐내기도 한다 .염화칼리는
소금과 함께 바다속에서 잠자고 있다 . 칼리는 물에 쉽게 녹는다 .물에 녹아야만 고향인 바다로 쉽게
돌아갈수 있기 때문이다 . 우리나라 는 염화칼리 광산이 한군데도 없고 칼리비료는 전량 외국에서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칼리(칼륨)의 역활은 무엇일까? 식물의 몸속에 가장 많은 무기원소는 칼륨이다.동물에게 나트륨이
중요한 것처럼 식물에게는 칼륨이 중요하다.칼륨이 하는 일은 많다.잎에 있는 숨구멍을 열고 닫고
한다.자귀나무가 밤낮으로 잎을 닫고 여는 것도 칼륨의 작용이다.그러나 흙속에 많으면 칼슘과
마그네슘 과 경쟁을 벌이면서 이것들이 조금밖에 뿌리 안으로 들어오지 못한다 .이것을 길항작용
이라 하는데 이것 때문에 칼륨비료를 많이 준 목초를 먹은 가축은 근육이 굳어지거나 쓰러지고,
심하면 죽는 병(글라스 테타니병) 에 걸리기도 한다 .가장 비싼비료 그러나 우리흙에 가장 많이
있고 거기다 더 주면 문제가 생기는 비료가 바로 칼륨 성분이다. 그래서 토양 검정을 받아서
적당히 주는 지혜가 필요하다
인산은 고향이 바위다. 인산은 인광석이라는 광물에서 나온다 .인광석 속에 들어 있는 인산은 식물이
잘 이용 할수 없기 때문에 여기에다 황산 같은 강한 산을 섞어서 비료를 만든다 .이렇게 만들어 진 것 이 과린산
석회다 . 인산도 고향으로 가고 싶어 하는 마음은 어쩔수 없다. 흙 속으로 들어간 인산은 바위의 성분인 철이나 알루미늄 과 붙어 버린다. 인산철과 인산알루미늄 은 흙속에 남아 있을뿐 뿌리가 빨아 먹을수 없다
비료를 고향으로 돌려보내는 가장 손쉬은 방법은 유기물을 태우는 것이다. 볏짚을 논바닥에 놓고 태우면 질소는 연기가 되어 하늘로 도망치고 ,인산과 칼리는 재가 된다. 이것은 유기물 속에 있을때보다 몇배나 물에 잘녹아 지하로 들어가거나 냇물을 타고 사라진다. 돈을 주고 산비료가 흙 속에 남아 있지 않고 고향으로 돌아간다면 손해가 크다 따라서 볏짚을 태우는 것은 아주 어리석은 짓이다
흙속에서 인산은 까다로은 소녀처럼 행동한다.특히 우리나라 토양에서 더 심하다. 인산은 우리 토양에 근본적으로 적은데다 비료로 줄 경우 손실이 다른 어떤 성분 보다도 크다 .우리날 흙에는 철과 알루미늄이 많이 들어 있다.평균 pH는 5.2정도로 산성인데 ,산성에서 철과 알루미늄은 기승을 부린다.철과 알루미늄은 남성이고 인산은 여성이다 이들은 만나자마자 연인이 되어 인산철 과 알루미늄인산을 만든다.
이게 바로 인산고정(phosphate fixation) 이다 .인산의 이런 불륜은 뿌리의 어떤 유혹도 무시한다. 그래서 pH 가 7에서 6으로 떨어지면 인산의 유효도(흡수)는 48%나 떨어지고 강산성에서는 80% 까지 떨어진다 . 산성일수록 인산의 흡수는 떨어진다
화학비료 에 들어가는 인산은 흙에서 움직임이 극도로 낮지만, 가축의 똥오줌과 같은 유기질 인산은 매우 좋다. 따라서가축의 똥오줌,특히 안산이 가장 많은 계분이 개간지에 주면 땅속 깊은 곳까지 들어가 좋은 효과를 보인다 .그런데 더 재미 있는 사실은 흙에서는 극도로 게으른 인산이 일단 뿌리에 흡수되면 몇십초 안에 식물 전체에 퍼진다는 사실이다 인산을 "열매비료" 라 한다.인산은 에너지를 저장하는 생체 배터리인 ADP 와 AMP 로 바뀌면서 에너지를 내놓고,역순 을 거치면서 에너지를 저장한다. 부족하면 에너지 생산이 나빠져 저장 기관인 과실과 종자 생산량이 현저히 줄어들기 때문이다
인산이 많이 축적되어 있으면 문제가 생긴다.많으면 논에 이끼가 많이 낀다.세포의 핵을 만드는 성분이라 작물뿐만 아니라,미생물 특히 병원균에게 꼭 필요한 성분이다 .그래서 인산이 많으면 병에 잘 걸린다.또 인산이 많다는 것은 오래 동안 농사를 지어서 다른 양분도 덩달아 많이 축척되어 있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따라서 염류 장해도 생기고 병원균이 많아 연작장해도 일어날 수 있다
아래사진은 과수원의 토양 검사서 이다 .
가축분 (계분,돈분,우분) 을 주고사서 또 퇴비를 주니 토양에 는 거름기가 너무많아서 오히려 작물이 잘
자랄수 없게된다. 즉, 토양에 는 인산이 많이 있으나 불용성 인산이라 작물에 흡수가 되지 않고 오히려
다른 양분의 흡수까지 방해하게 된다. 이런경우에 농약방에 가면 값비싼 영양제를 권유받게 되고 구매히여
사용하면 작물은 일시적으로 살아나지만, 오히려 비용은 3중으로 더 증가하게된다
농사가 잘 안되는 분들 !!!!
수확량이 적고 품질은 떨어지면서 병해충으로 고생하시는 분들 !!!
토양검사를 꼭 하셔서 점검을 받으시길 바랍니다
다음엔 액비 만드는 방법하고 녹비작물에 대한 자료를 올려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