앰프와 스피커 구입 고민입니다.
안녕하세요?
전문가 회원님들의 도움을 얻고져 합니다.
제가 지금 사용하고 있는 음향기기는
디지털믹스와
액티브 스피커 1개와 그기에 연동해서 사용할수있는 패시브 1개를 가지고 있습니다.
스피커의 용량은 개당 300와트라고 되어있는데
소리가 작아서 올리다보면 웅웅거리는 경우도 있고 생각보다 소리가 크지도 않더군요.
그렇기에 이것은 보조나 모니터용으로 쓰고
메인을 구입할 계획인데 지식이 부족합니다.
이것역시 지식이 없다보니 판매자의 말만듣고 거금 140만원대에 구입했지 뭡니까.
(그땐 충전식에 왜 그리 꼽혔는지...)
용도는 야외에서 200명 정도를 커버할수 있는 용량이면 좋겠고
다른것들은 다 있으니 앰프와 스피커만 필요 합니다.
일체형인 액티브를 사느냐 아니면 앰프와 스피커를 각각 사느냐도 고민이구요.
액티버는 추가증설이 불가한 반면 가격이 유리하고
앰프와 스피커를 각각 구입하면 앰프의 용량을 좀 큰걸 사서 추후 스피커를
높히거나 증설하는데 유리하지만 초기비용이 증가한다고 하더군요.
이래저래 고민입니다.
현재 관심갖고 있는것은
QSC PLX3602(스위칭 파워 앰프 : 신품 170만원대, 중고 90~110만원)와
QSC 파워라이트 시리즈 중에서 위의 3602와 비슷한 용량을 찾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게 제가 원하는 용도에 맞는지도 궁금하고 제품성능도 궁금합니다.
상기 제품은 제가 검색해 본 것이고 이것 아니라도 신뢰성이 있는 메어커면 상관없습니다
또한 여기에 맞는 스피커는 어떤것을 쓰야 할지도 몹시 궁금합니다.
스피커는 중국제조품은 염두에 두지 않으며 가성비가 좋은 제품이면 좋겠습니다.
모든일이 다 그렇고
디지털믹스를 구입할때도 그랫지만
특정모델을 지정해주고 가격절충하는것과 그냥 어리버리 이거다 저거다 하는 식으로
구입하다보면 단가가 올라가기 마련이지 않겠습니까.
추천해 주실 제품이 있으시면 모델명을 정확이 알려 주시면 더 고맙겠습니다.(쪽지나 비밀글도 좋습니다)
많은 조언 부탁 드립니다.
멋진남자 15.11.08. 18:22
저는 직장생활하며 음향이벤트를 20년 넘게 즐기고 있습니다.
저도 처음엔 파워드믹서 1.2kw로 시작해서 장비업그레이드 해오며 지금은 QSC스위칭파워앰프 2.2키로 와 암펠 2.4키로 앰프 두대를 가지고 있습니다.
스피커는 샘슨 15인치 500와트 힌조와 EV 12인치 sx200 300와트 한조. 그리고 ev카피형 15인치 300와트 한조를 가지고 필요에따라 스피커를 링크하고 앰프 두대로 각각 컨트롤해서 사용합니다.
아마도 제 장비 규모가 님이 필요로 하는 규모가 될 듯 하네요.
앰프는 스피커 연결수량에 따라 8옴. 4옴으로 변하는것을 먼저 이해해야 하며 4옴기준 2.4kw로 장만하시길~

스피커는 15인치 고출력으로. 싱글 500와트나 더블 1000와트를 권해드립니다.
저는 산타페 차를 가지고 있어서 15인치 싱글 500와트와. 12인치 300와트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ev 15인치 300와트 한조도 함께 권해드립니다.
마이크 소리를 잘 빼주니까요~
장비는 가능하면 새것으로 구입하지 마시고 인터넷 중고매장이나 카페에서 상태좋은 중고로 구입하면 신품구입가의 절반 수준에 구입할수 있습니다.

이렇게 상세한 답변을 해 주시니 너무너무 고맙습니다.
저역시 산타페차량이라서 적당량 장비를 실을수 있겠군요.
제가 이쪽으론 워낙 문외한 이다보니 중고장비 고르기가 쉽지는 않지만
당장 필요로하는것은 아니니 시간을 두고 찾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재삼 감사의 말씀 드립니다.
2016.02.05 22:17:16 (115.♡.240.251) 답변 채택하기 댓글달기 신고 우리 색나라회원이신 이동준님께 자문을 넣어보세요
저희 학원 연습실과 야외에서 쓰는 터보사운드 m15
파워드 스피커가 좋더군요.
소리 빵빵하고 음질 좋고... 추천 합니다.
http://sjmedia.co.kr/110182706898
참고로 저는 다이나코드 파워메이트 1000-3 에. Jbl. mrx 515와 srx712. 총2조를 기본사용합니다..
Stx 825도 좋겠지만..15인치 두방과 하이 조합이라. 마이크 소리의 섬세한 면을 강조 하다보니. 15인치 한개와 12인치 한개를. 사용합니다. 그래서. 위의. 조합으로. 사용합니다..
저도 srx715와 srx712를 사용하면 금상 첨화 겠지만...
새것은. 단종되어서. 없어서. 중고. 구하다가. 못구해서. 그냥.mrx515를. 구했는데..
고음이. 넘. 약해서. 원래. 박혀 있는. 고음을. 빼고. 별도로B&C제품. 고음으로. 교체 해서 사용합니다..
Mrx515는 무게가. 엄청. 가벼워서. 이동하기에도. 아주. 편하더군요...
혹시,파워드 믹서 구입하실분중에 다이나코드 제품. 구입예정이신분은. 파워메이트 1000-3이 아니라도.
600-3도. 추천 드립니다..
기능의. 차이는 그리많지 않습니다...단지. 채널이 좀. 적지만 동호회 공연 용으로는. 훌륭합니다.마이크를. 많이 사용해야 할 경우가. 아니라면. ..출력은 1,000w+1,000w입니다..4ohm기준....
서브우퍼 hk (모델명. 까먹음), 스피치 전용 apoge (철자가 맞나? 암튼. 아포지 제품)도. 있습니다..
매키 파워드 믹서,에또~~~ 파워라이트 4.0파워앰프,
슈어 무선마이크(핀마이크, 핸드마이크,)3개 , 젠하이저 핸드 마이크, akg헤드셋 마이크,야마하 psr950 키보드,로랜드 키보드,등등...
정리 한다고 했는데도. 이만큼. 되네요....ㅎㅎ
좀 읽어보니까 액티브 하나에 연동 패시브 하나에
물려서 사용 한다는건데 좀 불 합리 할수 있고
모든 음향이 사실 좀 되면 중국oem으로 되는게
문젠데 제비엘은 이미 갈때 간거 같은데 .피베이
이브이 같은걸로 가는데 기왕임 한셋트로 새걸로
사실길 원합니다.
액티브가 유리한거 같고 뭐 이것저것 합치지
말고 한셋트로 사시는게 유리한데 제경운 hk오디오
루카스 시리즈중에 좀 괜찮은걸로 했는데 좋은 느낌
가지고 있슴다.
제경험엔 제품이 좋고 가벼움 젤 비싸고 제품은
좋은데 무게가 많이 나감 중간 사운드도 않좋고 무겁고
뭐 많이 달려 있슴 싼거 같은데 어디 이동 하실렴
간단하고 가볍고 사운드 좋은게 좋은데 색나라에 파는건
권하고 싶지 않은게 비싼거 내놓음 사질 않으니까 전부
글코 그런 가격대가 만만한걸 많이 내놓는거 같슴다.
음향장비는 일단 색나라에 보지 말고 악기점에
가셔서 사는척 하면서 최소한 사오백 정돈 맘먹고
있으셔야 함다 액티브 두통만.....
그래서 자문을 구하고 지식을 쌓아서 마지막에
살땐 가격대을 검색 해보는게 좋을것 같슴다.
진짜 옛날엔 이런 걱정 할 필요가 없었는데 요샌
요샌 음악시장 너무 죽어 버려 수입처가 한정되 있고
더 이상 외국에서 한국시장을 버렸다는게 아쉽슴다.
일단 눈팅을 많이 해보십시요 색나라 말고
딴 데 에서 제겨운 hk오디오 루카스 시리즈 2,4키론데
젤 상급인데 이름이 생각이 안나는군요 인터넷 가격은
뭐 칠백 하던데 그건 거품이고 제 생각엔 파다보면
오백대 까진 가능 할수가 있을검다 살때 무리 하시더라도
악기만큼 장비도 만만 찮으니까 그래도 될수있슴 신품으로....
님께서 달아 주시는 다른분들의 댓글도 관심있게 보고 있습니다.
루카스 시리즈를 검색해보니 여러 제품이 있군요.
가격또한 만만치가 않으나 이동에 편리한것이 많은 장점으로 다가오고 있습니다.
저의 차가 산타페라서 그기에 실려야하고 야외에서 200명정도라는 애매모호한 표현을 했습니다만
님께서 가지고 계신 그 모델명을 좀 정확히 알려 주실수는 없겠는지요?
구입가격도 좀 알려 주시면 더 좋겠구요.
왠만하면 이 제품중에 하나를 선택할까 싶기도 합니다.
먼저 애너지 1을 소비해서 얻어지는 애너지 값이 1에 못미치는 법 즉 전력 1000 을 소비해서 발전기(제네래타) 를 회전시켜 발전되는 전력의 값은 얼마일까요? 몇백 밖에 얻을수 없다는 절대적인 공식이다
고로 얻고자 하는 음성 출력의 값이 2000 일떄 소비되는 전력의 값은 3000 이상이 소비된다 라는 계산이 산출되지요
*전기 저항은 전선의 길이에 비례하고 단면적에 반비례 한다 여기서 변압기(파워트랜스) 의 코아(철심) 의 단면적 값과 주라수값(우리나라는60) 을 계산하면 코일(절연전선) 감는 회수 값이 산출되므로 고출력 일수록 부피가 커질수 밖에 없으니 커진만큼 중량도 무거워질 수 밖에 없는 이치다 이렇는 데도 뭐 고출력 인데 가볍다 도채의 우수성 은 1금 2은 3동 순서지요 비록 3순위지만 자원이 1과 2보다 많으므로 가격(비용) 때문에 3순위 동을 사용하는것 오늘은 여기 까지만 땡 돋보기 독수리 타 글쓰기 힘들어요
먼저 실내 냐 실외 냐 에 따라 음성출력 스피커 의 종류 를 고려해야 할것이다
여기서 2킬로왓트 를 요 할경우 1킬로왓트 스피커 2개 를 사용한다면 스피커로 부터 가까운 위치에서 는 아우 시끄러워 귀창(고막) 터지 겠으니 소리 더 작게 하시오 역으로 먼 거리의 위치 에서는 소리가 안 들리니 크게 하시오 하는 현상시 강건너 불보듯 뻔한것 아닙니까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답은 간단 합니다
500왓트+500왓트 앰프(소리적 세력을 전기적 세력으로 바꾸어 증폭 증폭 증폭하여 스피커로 큰 소리가 발생토록 하는것) 2대 를 준비하여 필요에 따라 앰프 1대 에 스피커 2개 또는 앰프 2대에 스피커 4개 를 적당한 위치에 배치 하는것이 다
가격 도500+500 이 100 일때 x 2면 200 인데 1000+1000 x1 은 아마도 400 이상 일거라고 감히 말할 수 있지요
왜냐하면 500+500 은 수요가 많으니까 요 1000+1000 은 수요가 적기 때문 이지요
고로 500+500 짜리 를 2 대 또는 3대 4대 를 선택하는게 필요적 경재적으로 월등한 차이 아니겠읍니까 여러분
저희 말씀이 이해가 되셨다면 박수 처 보시지요 건강에도 좋다고 하던데요 서투른 자판 글 아 머리아파 요 여기서 이만큼 만 땡떙!
실외냐 실내냐를 꼭찝어 말할수 없는것은 용도가 다양하기 때문입니다.
이게 먹고사는 직업이라면 여러가지를 갖추어놓고 그때그때 적당한 장비를 챙겨가면 되겠지만
그냥 취미로 지금은 연중 삼사회 정도이고 앞으론 좀더 사용할 기회가 있을것 같습닏다만
이런 문제가 있기에 선택하기가 상당히 어렵습니다.
앰프도 용량이 큰것은 큰만큼 비싼게 아니고 다이아몬드처럼 많이 비싸다는 말씀 이시군요.
그래서 대안으로 큰용량 하나보다 작은용량 2개가 더 쓰임새가 있고 바용도 저렴하다는 말씀이지요?
이것은 전혀 생각해 보지도 않은 일입니다.
그런데 앰프가 500+500 이라는게 무엇인지요?
어찌보면 이렇게 장만 했다가 좀 더 증설할수 있으면 초기비용도 절감되고
소모임에선 다 가져갈 필요없이 적당히 가져가도 좋을것 같다는 생각입니다.
질문도 어느정도 알아야 서로 주고 받을수 있는데 너무 무식하다보니
우의독경에 서답동문이 아닌가 모르겠습니다.
딱 이렇게 하는거다 하고 꼬집어서 말씀해 주시면 않될까요?
소리가좀 빈약 하죠.
스피커의 무게는 나무통 과 스피커 유닛(자석)이 거의 차지 합니다.
그래서, 무게를 획기적으로 개발한것이 neodydium(네오디듐)유닛 입니다.듀얼코일 타입이라 고출력이 가능 하고요.
무거운 자석에서 해방된거죠...무게감이 거의 없지만 출력은 엄청 납니다..
그리고, 스피커 통또한 무시 못합니다..
예전에 많이 사용하던 통은 집보드라고 하나요?? 톱밥을 압축시킨 합판을 많이 사용했는데..
무게가 장난이 아닙니다..
고가의 장비는 자작나무 통으로 만듭니다..(자작나무로 된 얇은 판자를 여러겹 붙여서 만든)
무게는 좀 가볍고 튼튼하고 견고 합니다..
스피커통의 크기 또한 중요하죠..
통이 크면 소리의 울림이 좋은데 부피가 커서 이동용으로는 불편하고...
요즘에 이동하기 편하고 출력 좋고 한것을 원하신다면 자작나무통에 네오디듐 스피커 유닛이 들어간 스피커를 구하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파원앰프또한 20 여년전에는 1kw 출력만 되도 수십kg 나가서 허리 부러질 지경 이었지만..
지금은 기술의 발달로 스위칭 앰프가 나옵니다..
어설픈 100 여만원 짜리 스위칭 앰프는 별로구요...
정말 좋은 스위칭 앰프는 출력이 20,000W 까지 나오더군요..
채널도 2채널에서 4채널로 아주 편리하게 나와서 전문음향인들에 인기 좋습니다..
가격은 좀 쎕니다..1,000 만원이 훌쩍 넘어 가구요...ㅠㅠ
에전의 철심 파워는 안에 보시면 엄청난 무게의 비밀은 트랜스(코일뭉치)에 있는데.
지금의 전자식 파워는 10,000W 출력이라 해도 손가락 한개로 들수 있을 정도로 가볍습니다..
비교 하면 둘다 장.단점이 있습니다..
뭣이든 기술이 발전 하면서 편리한점은 있으나 뭔가 좀2% 부족한 면도 있는것 같습니다..
색소폰도 .....
메이커 상표 붇혀서 십만원에 판다고 하던데 모든 물건들에 메이커 값이 많이 차지 하는것 같습니다.
이 계통을 잘 안다면야 세운상가 다락방이라도 뒤져 보겠지만 설상가상 뒤져봣다 한들 무엇을 알수 있겠습니까
그러니 답답할 뿐이지요.
모르면 돈을 많이 주고 사라지만 같은제품도 파는 사람에 따라 차이가 많이 나니까
조언도 구하고 여기저기 가격도 알아보고 하는거 아니겠습니까
타이핑도 어려우 시다는데 많이 조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이제 한시간 후면 설날이군요...즐거운 설명절 되시기 바랍니다.
여러 님들께서 답변해 주신 내용을 토대삼아
앰프를 중고던 신품이던 좀 쓸만한 것으로 구입하고(신품은 200만원정도)
스피커는 300와트~500와트 정도 되는 쓸만한것을 구입했다가
차후 증설하면 어떨까 싶기도 하고
루카스 중에서 하나를 택할까 싶기도 하고
박정연님이 말씀하신것들을 잘 살피면 저렴하고 좋은것을 장만할수 있겠다 싶기도한데
전문지식이 없어니 답답할 따름입니다.
자금이 넉넉하다면야 무조건 돈많이 주고 좋을걸 사면 좋겠지만
동일제품도 어디서 어떻게 사느냐에 따라서 20%이상 가격차이가 있기에
이리저리 자문도 구하고 알아 보는 중입니다.
답글을 드리고 잠시 프로필을 뵈니 음향장비가 어마어마 한것 같군요.
제가 너무 아는게 없다보니 어떻게 여쭤야 할지...
2016.02.05 22:17:16 (115.♡.240.251) 답변 채택하기 댓글달기 신고 우리 색나라회원이신 이동준님께 자문을 넣어보세요
저희 학원 연습실과 야외에서 쓰는 터보사운드 m15
파워드 스피커가 좋더군요.
소리 빵빵하고 음질 좋고... 추천 합니다.
http://sjmedia.co.kr/110182706898
참고로 저는 다이나코드 파워메이트 1000-3 에. Jbl. mrx 515와 srx712. 총2조를 기본사용합니다..
Stx 825도 좋겠지만..15인치 두방과 하이 조합이라. 마이크 소리의 섬세한 면을 강조 하다보니. 15인치 한개와 12인치 한개를. 사용합니다. 그래서. 위의. 조합으로. 사용합니다..
저도 srx715와 srx712를 사용하면 금상 첨화 겠지만...
새것은. 단종되어서. 없어서. 중고. 구하다가. 못구해서. 그냥.mrx515를. 구했는데..
고음이. 넘. 약해서. 원래. 박혀 있는. 고음을. 빼고. 별도로B&C제품. 고음으로. 교체 해서 사용합니다..
Mrx515는 무게가. 엄청. 가벼워서. 이동하기에도. 아주. 편하더군요...
혹시,파워드 믹서 구입하실분중에 다이나코드 제품. 구입예정이신분은. 파워메이트 1000-3이 아니라도.
600-3도. 추천 드립니다..
기능의. 차이는 그리많지 않습니다...단지. 채널이 좀. 적지만 동호회 공연 용으로는. 훌륭합니다.마이크를. 많이 사용해야 할 경우가. 아니라면. ..출력은 1,000w+1,000w입니다..4ohm기준....
서브우퍼 hk (모델명. 까먹음), 스피치 전용 apoge (철자가 맞나? 암튼. 아포지 제품)도. 있습니다..
매키 파워드 믹서,에또~~~ 파워라이트 4.0파워앰프,
슈어 무선마이크(핀마이크, 핸드마이크,)3개 , 젠하이저 핸드 마이크, akg헤드셋 마이크,야마하 psr950 키보드,로랜드 키보드,등등...
정리 한다고 했는데도. 이만큼. 되네요....ㅎㅎ
좀 읽어보니까 액티브 하나에 연동 패시브 하나에
물려서 사용 한다는건데 좀 불 합리 할수 있고
모든 음향이 사실 좀 되면 중국oem으로 되는게
문젠데 제비엘은 이미 갈때 간거 같은데 .피베이
이브이 같은걸로 가는데 기왕임 한셋트로 새걸로
사실길 원합니다.
액티브가 유리한거 같고 뭐 이것저것 합치지
말고 한셋트로 사시는게 유리한데 제경운 hk오디오
루카스 시리즈중에 좀 괜찮은걸로 했는데 좋은 느낌
가지고 있슴다.
제경험엔 제품이 좋고 가벼움 젤 비싸고 제품은
좋은데 무게가 많이 나감 중간 사운드도 않좋고 무겁고
뭐 많이 달려 있슴 싼거 같은데 어디 이동 하실렴
간단하고 가볍고 사운드 좋은게 좋은데 색나라에 파는건
권하고 싶지 않은게 비싼거 내놓음 사질 않으니까 전부
글코 그런 가격대가 만만한걸 많이 내놓는거 같슴다.
음향장비는 일단 색나라에 보지 말고 악기점에
가셔서 사는척 하면서 최소한 사오백 정돈 맘먹고
있으셔야 함다 액티브 두통만.....
그래서 자문을 구하고 지식을 쌓아서 마지막에
살땐 가격대을 검색 해보는게 좋을것 같슴다.
진짜 옛날엔 이런 걱정 할 필요가 없었는데 요샌
요샌 음악시장 너무 죽어 버려 수입처가 한정되 있고
더 이상 외국에서 한국시장을 버렸다는게 아쉽슴다.
일단 눈팅을 많이 해보십시요 색나라 말고
딴 데 에서 제겨운 hk오디오 루카스 시리즈 2,4키론데
젤 상급인데 이름이 생각이 안나는군요 인터넷 가격은
뭐 칠백 하던데 그건 거품이고 제 생각엔 파다보면
오백대 까진 가능 할수가 있을검다 살때 무리 하시더라도
악기만큼 장비도 만만 찮으니까 그래도 될수있슴 신품으로....
님께서 달아 주시는 다른분들의 댓글도 관심있게 보고 있습니다.
루카스 시리즈를 검색해보니 여러 제품이 있군요.
가격또한 만만치가 않으나 이동에 편리한것이 많은 장점으로 다가오고 있습니다.
저의 차가 산타페라서 그기에 실려야하고 야외에서 200명정도라는 애매모호한 표현을 했습니다만
님께서 가지고 계신 그 모델명을 좀 정확히 알려 주실수는 없겠는지요?
구입가격도 좀 알려 주시면 더 좋겠구요.
왠만하면 이 제품중에 하나를 선택할까 싶기도 합니다.
먼저 애너지 1을 소비해서 얻어지는 애너지 값이 1에 못미치는 법 즉 전력 1000 을 소비해서 발전기(제네래타) 를 회전시켜 발전되는 전력의 값은 얼마일까요? 몇백 밖에 얻을수 없다는 절대적인 공식이다
고로 얻고자 하는 음성 출력의 값이 2000 일떄 소비되는 전력의 값은 3000 이상이 소비된다 라는 계산이 산출되지요
*전기 저항은 전선의 길이에 비례하고 단면적에 반비례 한다 여기서 변압기(파워트랜스) 의 코아(철심) 의 단면적 값과 주라수값(우리나라는60) 을 계산하면 코일(절연전선) 감는 회수 값이 산출되므로 고출력 일수록 부피가 커질수 밖에 없으니 커진만큼 중량도 무거워질 수 밖에 없는 이치다 이렇는 데도 뭐 고출력 인데 가볍다 도채의 우수성 은 1금 2은 3동 순서지요 비록 3순위지만 자원이 1과 2보다 많으므로 가격(비용) 때문에 3순위 동을 사용하는것 오늘은 여기 까지만 땡 돋보기 독수리 타 글쓰기 힘들어요
먼저 실내 냐 실외 냐 에 따라 음성출력 스피커 의 종류 를 고려해야 할것이다
여기서 2킬로왓트 를 요 할경우 1킬로왓트 스피커 2개 를 사용한다면 스피커로 부터 가까운 위치에서 는 아우 시끄러워 귀창(고막) 터지 겠으니 소리 더 작게 하시오 역으로 먼 거리의 위치 에서는 소리가 안 들리니 크게 하시오 하는 현상시 강건너 불보듯 뻔한것 아닙니까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답은 간단 합니다
500왓트+500왓트 앰프(소리적 세력을 전기적 세력으로 바꾸어 증폭 증폭 증폭하여 스피커로 큰 소리가 발생토록 하는것) 2대 를 준비하여 필요에 따라 앰프 1대 에 스피커 2개 또는 앰프 2대에 스피커 4개 를 적당한 위치에 배치 하는것이 다
가격 도500+500 이 100 일때 x 2면 200 인데 1000+1000 x1 은 아마도 400 이상 일거라고 감히 말할 수 있지요
왜냐하면 500+500 은 수요가 많으니까 요 1000+1000 은 수요가 적기 때문 이지요
고로 500+500 짜리 를 2 대 또는 3대 4대 를 선택하는게 필요적 경재적으로 월등한 차이 아니겠읍니까 여러분
저희 말씀이 이해가 되셨다면 박수 처 보시지요 건강에도 좋다고 하던데요 서투른 자판 글 아 머리아파 요 여기서 이만큼 만 땡떙!
실외냐 실내냐를 꼭찝어 말할수 없는것은 용도가 다양하기 때문입니다.
이게 먹고사는 직업이라면 여러가지를 갖추어놓고 그때그때 적당한 장비를 챙겨가면 되겠지만
그냥 취미로 지금은 연중 삼사회 정도이고 앞으론 좀더 사용할 기회가 있을것 같습닏다만
이런 문제가 있기에 선택하기가 상당히 어렵습니다.
앰프도 용량이 큰것은 큰만큼 비싼게 아니고 다이아몬드처럼 많이 비싸다는 말씀 이시군요.
그래서 대안으로 큰용량 하나보다 작은용량 2개가 더 쓰임새가 있고 바용도 저렴하다는 말씀이지요?
이것은 전혀 생각해 보지도 않은 일입니다.
그런데 앰프가 500+500 이라는게 무엇인지요?
어찌보면 이렇게 장만 했다가 좀 더 증설할수 있으면 초기비용도 절감되고
소모임에선 다 가져갈 필요없이 적당히 가져가도 좋을것 같다는 생각입니다.
질문도 어느정도 알아야 서로 주고 받을수 있는데 너무 무식하다보니
우의독경에 서답동문이 아닌가 모르겠습니다.
딱 이렇게 하는거다 하고 꼬집어서 말씀해 주시면 않될까요?
소리가좀 빈약 하죠.
스피커의 무게는 나무통 과 스피커 유닛(자석)이 거의 차지 합니다.
그래서, 무게를 획기적으로 개발한것이 neodydium(네오디듐)유닛 입니다.듀얼코일 타입이라 고출력이 가능 하고요.
무거운 자석에서 해방된거죠...무게감이 거의 없지만 출력은 엄청 납니다..
그리고, 스피커 통또한 무시 못합니다..
예전에 많이 사용하던 통은 집보드라고 하나요?? 톱밥을 압축시킨 합판을 많이 사용했는데..
무게가 장난이 아닙니다..
고가의 장비는 자작나무 통으로 만듭니다..(자작나무로 된 얇은 판자를 여러겹 붙여서 만든)
무게는 좀 가볍고 튼튼하고 견고 합니다..
스피커통의 크기 또한 중요하죠..
통이 크면 소리의 울림이 좋은데 부피가 커서 이동용으로는 불편하고...
요즘에 이동하기 편하고 출력 좋고 한것을 원하신다면 자작나무통에 네오디듐 스피커 유닛이 들어간 스피커를 구하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파원앰프또한 20 여년전에는 1kw 출력만 되도 수십kg 나가서 허리 부러질 지경 이었지만..
지금은 기술의 발달로 스위칭 앰프가 나옵니다..
어설픈 100 여만원 짜리 스위칭 앰프는 별로구요...
정말 좋은 스위칭 앰프는 출력이 20,000W 까지 나오더군요..
채널도 2채널에서 4채널로 아주 편리하게 나와서 전문음향인들에 인기 좋습니다..
가격은 좀 쎕니다..1,000 만원이 훌쩍 넘어 가구요...ㅠㅠ
에전의 철심 파워는 안에 보시면 엄청난 무게의 비밀은 트랜스(코일뭉치)에 있는데.
지금의 전자식 파워는 10,000W 출력이라 해도 손가락 한개로 들수 있을 정도로 가볍습니다..
비교 하면 둘다 장.단점이 있습니다..
뭣이든 기술이 발전 하면서 편리한점은 있으나 뭔가 좀2% 부족한 면도 있는것 같습니다..
색소폰도 .....
메이커 상표 붇혀서 십만원에 판다고 하던데 모든 물건들에 메이커 값이 많이 차지 하는것 같습니다.
이 계통을 잘 안다면야 세운상가 다락방이라도 뒤져 보겠지만 설상가상 뒤져봣다 한들 무엇을 알수 있겠습니까
그러니 답답할 뿐이지요.
모르면 돈을 많이 주고 사라지만 같은제품도 파는 사람에 따라 차이가 많이 나니까
조언도 구하고 여기저기 가격도 알아보고 하는거 아니겠습니까
타이핑도 어려우 시다는데 많이 조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이제 한시간 후면 설날이군요...즐거운 설명절 되시기 바랍니다.
여러 님들께서 답변해 주신 내용을 토대삼아
앰프를 중고던 신품이던 좀 쓸만한 것으로 구입하고(신품은 200만원정도)
스피커는 300와트~500와트 정도 되는 쓸만한것을 구입했다가
차후 증설하면 어떨까 싶기도 하고
루카스 중에서 하나를 택할까 싶기도 하고
박정연님이 말씀하신것들을 잘 살피면 저렴하고 좋은것을 장만할수 있겠다 싶기도한데
전문지식이 없어니 답답할 따름입니다.
자금이 넉넉하다면야 무조건 돈많이 주고 좋을걸 사면 좋겠지만
동일제품도 어디서 어떻게 사느냐에 따라서 20%이상 가격차이가 있기에
이리저리 자문도 구하고 알아 보는 중입니다.
답글을 드리고 잠시 프로필을 뵈니 음향장비가 어마어마 한것 같군요.
제가 너무 아는게 없다보니 어떻게 여쭤야 할지...
여러님들의 의견을 듣어보고 결정할까싶어서 그렇습니다.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