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단풀의 효능
비단풀


<
비단풀은 대극과에 딸린 한해살이풀이다. 언뜻 보면 쇠비름을 닮았으나 쇠비름보다 훨씬 작다. 풀밭이나 마당, 길 옆에 흔히 자라지만 작아서 별로 눈에 띄지 않는다. 줄기는 땅바닥을 기면서 자라고 줄기나 잎에 상처를 내면 흰 즙이 나온다. 내금초, 점박이풀 등으로 부르고 지금(地錦), 지면(地綿), 초혈갈(草血竭), 혈견수(血見愁), 오공초(蜈蚣草), 선도초(仙挑草) 등의 여러 이름이 있다.
비단풀은 항암작용과 해독작용, 항균작용, 진정작용 등이 뛰어나서 갖가지 암, 염증, 천식, 당뇨병, 심장병, 신장질환, 악성 두통, 정신불안 증 등에 두루 쓸 수 있다. 열을 내리고 독을 풀며 혈액순환을 잘되게 하고 피가 나는 것을 멈추게 하며 젖, 소변을 잘 나오게 하는 작용이 있다. 세균성 설사, 장염, 기침으로 목에서 피가 넘어올 때, 혈변, 자궁출혈, 외상으로 인한 출혈, 습열로 인한 황달, 종기, 종창, 타박상으로 붓고 아픈 것 등을 치료한다. 마음을 편안하게 하고 통증을 멎게 하는 작용이 있으며 독성은 전혀 없다.
복용법도 쉽고 간단하다. 말린 것은 하루에 5∼12g을 달여서 하루에 두세번 나누어 복용하고 날것은 30∼80g을 달여서 복용한다. 그늘 에서 말려 가루 내어 복용할 수도 있다. 외용으로 쓸 때는 날 것을 짓찧어 붙이거나 가루 내어 뿌린다.
몇해 전에 나는 일생을 암연구에 바친 어느 외국 교포로부터 남미 콜롬비아에 모든 암을 귀신같이 고칠 수 있는 신비로운 약초가 있다는 말을 듣고, 1000만 원을 마련하여 이름도 생김새도 모르는 풀을 찾아 콜롬비아로 날아갔다. 밀림속에서 그 풀을 원주민들에게 부탁하여 채취하여 말려서 한국에 가져왔다. 얼마뒤 서울 한복판에 있는 사무실 마당의 화단을 관찰하다가 깜짝 놀랐다. 시멘트가 갈라진 틈새로 죽을 고생을 해서 아마존 정글에서 가져 온 약초와 똑같이 생긴 풀이 자라고 있지 않은가! 잎 모양도 같았고 줄기를 끊으면 흰즙이 나오는 것도 같았고 먹어서 쓴맛이 나는 것도 똑같았다. 이럴수가! 자세히 보니 그 풀은 거기뿐만 아니라 관리인이 게을러서 풀을 뽑아 주지 않은 마당 곳곳에서 자라고 있었다.
그렇다. 그 신비의 약초는 아마존 정글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나라에도 흔히 있는 잡초였다. 나는 신비의 영약을 발 밑에 두고 지구를 반 바퀴나 돌아 아마존 정글을 헤매다 온 것이었다. 진리는 언제나 눈앞에 있고 선약은 언제나 발 밑에 있다. 약은 늘 거기에 있되 다만 사람의 눈이 어두워 보지 못할 뿐이다. 나는 눈뜬 소경이었다. 비싼 수업료를 내고 아마존 정글 속에서 찾아낸 그 신비의 약초가 바로 비단풀이다. 과연 비단풀은 비싼 수업료가 조금도 아깝지 않을 만큼 신통한 약효를 지닌 식물이었다. 그런 약초를 또 찾아낼 수 있다면 나는 더 비싼 수업료도 아끼지 않으리라.
약효와 주치 혈액순환을 잘 되게 하고 기를 잘 순환하게 하는 데 쓴다. <가우본초> 기의 순환을 조절하고 혈을 조화한다.<본초명품정요> 옹종과 악창, 칼에 베인 상처와 타박상으로 인한 출혈, 피가 나는 설사, 하혈, 붕중을 치료한다. 피를 흩어지게 하고 피나는 것을 멈추며 소변을 통하게 한다. <본초강목> 위가 거북하고 불러오는 것, 냉골통(冷骨痛), 비염, 치질을 치료하고 젖을 잘 나오게 한다.<민간상용중약품편> 위를 튼튼하게 하고 설사를 멎게 하며 어린이의 감적을 치료한다. <절강민간초약> 피를 멎게 하고 소변을 잘 나오게 하며 위를 튼튼하게 하고 혈액순환이 잘 되게 하고 독을 푼다. 황달, 이질, 설사, 요로감염, 혈변, 혈뇨, 자궁출혈, 치질로 인한 출혈, 타박상으로 인한 종통, 젖이 안 나오는 것, 뱀에 물린 상처, 머리의 종기, 피부염을 치료한다.<상해 상용중초약> 열을 없애고 혈액을 맑게 하며 부은 것을 가라앉히고 독을 푼다.<복건중초약>
처방례 1. 장독으로 인한 이질 : 비단풀을 그늘에서 말려 하루 5-10그램을 미음과 함께 복용한다. 2. 적리(赤痢)가 멎지 않을 때 : 비단풀을 그늘에서 말려 가루내어 한 번에 5-10그램씩 공복에 쌀죽과 함께 복용한다. 3. 위장염 : 신선한 땅빈대 40-80그램을 달여서 복용한다. 4. 감기로 인한 해수 : 신선한 비단풀 40그램을 달여서 복용한다. 5. 해수로 인한 출혈, 토혈, 혈변, 자궁출혈 : 신선한 비단풀 40그램을 달여서 복용한다. 또는 땅빈대를 그늘에서 말려 꿀로 알약을 지어 복용한다. 6. 피오줌 : 비단풀 말린 것 30-60그램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7. 심한 자궁출혈 : 어리고 부드러운 비단풀을 푹 쪄서 참기름, 생강, 소금 한 숟갈과 함께 복용한다. 또는 그늘에서 말린 비단풀 5-10그램을 생강, 술과 함께 복용한다. 8. 자궁출혈 : 비단풀 2근을 달여서 찌꺼기를 버리고 바싹 졸여서 고약을 만들어 한 번에 5그램씩 하루 두 번 술과 함께 복용한다. 9. 칼이나 낫에 다쳐 출혈이 멎지 않을 때 : 비단풀을 날것으로 짓찧어 붙인다. 10. 잇몸에서 피가 날 때 : 신선한 비단풀을 달인 물로 양치질을 하고 입을 헹군다. 11. 습열로 인한 황달 : 비단풀을 날 것으로 30-60그램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12. 젖이 잘 안 나올 때 : 수퇘지 앞발 한 개를 약한 불로 고아서 그 즙으로 비단풀 40그램을 달여서 찌꺼기를 버리고 한 번에 15그램씩 술과 함께 복용한다. 13. 종기로 인한 통증 : 비단풀을 날 것으로 짓찧어 붙이거나 말려서 가루 내어 뿌린다. 14. 대상포진 : 신선한 비단풀을 짓찧어 식초와 섞어 붙이거나 말린 것을 가루 내어 들기름이나 참기름에 개어 바른다. 15. 인후염 : 신선한 비단풀 30그램을 즙을 짜서 꿀에 담가 두었다가 하루 세 번에 나누어 복용한다. 16. 급성 결막염 : 비단풀을 달인 물로 눈을 씻는다. 17. 타박상 : 신선한 비단풀에 술을 약간 붓고 짓찧은 다음 밀가루를 약간 섞어서 바른다. 18. 뱀에 물린 데 : 신선한 비단풀을 짓찧어 붙인다.
성분과 효능 비단풀은 플라보노이드와 사포닌이 주성분이다. 잎에는 탄닌질이 10퍼센트 이상 들어 있으며 몰식자산, 메틸에스테르, 마쿨라톨, 시토스테롤, 알칼로이드 등이 들어 있다. 비단풀을 달인 물이나 신선한 즙액, 알코올 추출물 등은 뚜렷한 항균 작용이 있다. 즙액은 황색 포도상구균, 초록색 연쇄상구균, 용혈성 연쇄상구균, 폐렴쌍구균, 카타르균, 디프테리아균, 대장균, 녹농균, 장티푸스균, 파라티푸스균, 이질균, 변형균, 백일해 간균 등을 죽이거나 억제한다. 비단풀을 달인 물이나 말린 가루 등은 진정, 진통, 최면 등의 작용이 있고 독성은 전혀 없다. 특히 세균성 이질이나 장염, 전염성 장염 등에 치료 효과가 뛰어나게 높다. 중국에서 실험한 바에 따르면 세균성 설사 1135례와 장염 1940예를 신선한 것은 하루 1백 그램, 말린 것은 50그램씩 달이거나 가루 내어 알약으로 만들어 복용하게 하였더니 치료율이 95-98퍼센트에 이르렀다고 한다. 두통에도 잘 듣는다. 진통작용과 진정작용이 뛰어나 어떤 두통이든지 효험이 있다. 원인을 알 수 없는 여러 두통환자한테 써 보았더니 효과가 매우 좋았다. 두통에 천마 못지 않은 효능을 지녔으리라고 생각된다. 생신작용, 곧 새살을 잘 돋아나게 하는 작용이 뛰어나 고약이나 외용약 원료로도 쓸 수 있다.
비단풀은 항암작용이 가장 뛰어난 식물 가운데 하나다. 특히 뇌종양, 골수암, 위암 등에 효과가 크다. 암세포만을 골라서 죽이거나 억제하고 암으로 인한 여러 가지 증상을 없애며 새살이 빨리 돋아나게 하고 기력을 늘린다. 몹시 심한 뇌종양 환자와 직장암 환자, 그리고 폐암환자를 비단풀을 활용하여 완치한 사례가 있다. 그늘에서 말린 비단풀을 하루 20-30그램씩 물로 달여서 먹거나 가루 내어 먹는다. 독성이 없으므로 60그램 이상을 써도 좋다.
비단풀은 항암작용과 해독작용, 항균작용, 진정작용 등이 뛰어나서 갖가지 암, 염증, 천식, 당뇨병, 심장병, 신장질환, 악성 두통, 정신불안증 등에 두루 널리 쓸 수 있다. 열을 내리고 독을 풀며 혈액순환을 잘 되게 하고 피가 나는 것을 멈추며 젖을 잘 나오게 하고 소변을 잘 나오게 하는 작용이 있다. 세균성 설사, 장염, 기침으로 목에서 피가 넘어올 때, 혈변, 자궁출혈, 외상으로 인한 출혈, 습열로 인한 황달, 젖이 잘 안 나오는 데, 종기, 종창, 타박상으로 붓고 아픈 것 등을 치료한다. 종기와 악창, 위가 거북하고 배에 가스가 차는 것, 두통, 비염, 치질에도 효과가 좋다. 마음을 편안하게 하고 통증을 멎게 하는 작용이 있으며 독성은 전혀 없다.
비단풀은 단방으로 쓰는 것이 좋으며 복용법도 쉽고 간단하다. 말린 것은 하루에 5-12그램을 달여서 하루에 두세 번 나누어 복용하고 날 것은 30-80그램을 달여서 복용한다. 그늘에서 말려 가루 내어 복용할 수도 있다. 외용으로 쓸 때는 날것을 짓찧어 붙이거나 가루 내어 뿌린다. 비단풀을 질병치료에 이용하는 방법을 몇 가지 적는다.
① 이질, 설사: 그늘에서 말려 하루 5∼10g을 미음과 함께 먹는다. 또는 말려서 가루 내어 한 번에 5∼10g씩 빈 속에 미음과 함께 먹는 다. ② 위염, 대장염: 날 것으로 40∼80g을 달여서 복용한다. 급성이나 만성 장염을 치료하는 효력이 매우 뛰어나다. 장염이 심하면 하루에 날 것으로 100g 이상, 말린 것으로 50g 이상을 달여 먹거나 가루 내어 먹는다. ③ 감기로 인한 기침, 혈변, 토혈, 자궁출혈, 혈뇨: 신선한 비단풀 40g을 달여 먹거나 그늘에서 말려 꿀로 알약을 지어 먹는다. ④ 자궁출혈: 날 것을 푹 쪄서 참기름, 생강, 소금 한 숟갈과 함께 먹는다. 또?? 그늘에서 말린 것 5∼10g을 생강과 함께 먹는다. 또는 비단풀 2근을 달여서 찌꺼기를 버리고 졸여 고약처럼 되게 해 한번에 5g씩 하루 두 번 증류주 반잔과 함께 복용한다. ⑤ 상처에 출혈이 멎지 않을 때: 날 것을 짓찧어 붙인다. ⑥ 잇몸 염증: 비단풀 달인 물로 양치질을 하고 입을 헹군다. 3∼10 일이면 낫는다. ⑦ 대상포진: 날것을 짓찧어 식초와 섞어 붙이거나 말린 것을 가루내어 들기름이나 참기름에 개어 바른다. ⑧ 인후염: 날것 30그램을 즙을 짜서 꿀에 담근후 하루 세 번에 나누어 복용한다. 2~3일이면 효험을 본다.
비단풀은 항암작용이 뛰어나다. 특히 뇌종양, 골수암, 위암 등에 효과 가 크다. 암세포만을 골라 죽이고 암으로 인한 여러 증상을 없애며 새 살이 빨리 돋아나게 하고 기력을 크게 늘린다.
비단풀에는 3가지가 있다. 애기땅빈대, 땅빈대, 큰땅빈대 모두 약용한다. 비단풀은 맛이 맵고 성질은 평하다. 6~9월에 채집하여 햇볕에 말려서 사용한다. 지혈하고 습열사를 제거하며 젖을 통하게 하는 효능이 있다. 황달, 설사, 치질 출혈, 독사에 물린 상처, 머리 부스럼, 소아 감적, 적리, 혈뇨, 혈붕, 외상 출혈, 모유 부족, 옹종창독, 칼에 베인 상처, 자궁 출혈, 악창, 어혈, 이뇨, 위를 튼튼하게 하고 혈액순환을 촉진하며 해독한다.
하루 12~40그램 많게는 80그램을 물 한되 즉 1.8리터를 붓고 반으로 줄 때까지 은은한 불로 달여서 복용한다. 또는 소아 감적에는 닭의 간과 함께 달여서 복용한다. 젖의 분비가 부족할 때는 말린 비단풀 80~120그램을 물로 달여서 황주와 함께 복용한다. 이질에는 말린 비단풀 80~120그램을 물로 달여서 설탕을 넣어 복용한다.
♣비단풀의 효능/萬病에 特效♣ [ 4 ] |
09/04/13 14:02 | 조회수 4356 |
| |
|
|
송찬회 |
|
| |
|
♣비단풀의 효능 (만병에 특효)♣
*비단풀이 어떻한 풀인지 아시는지-?
아신다면 알기쉽게 설명할수 있는지요-?
지방마다 부르는 이름도 다르겠구요-?
어떻한 풀인지 이해가 않가네요-?...*
◆ 학명: Ceramiaceae
◆ 이명 : 지금(地錦),지면(地綿),초혈갈(草血褐),혈견수(血見愁),
오공초(蜈蚣草), 선도초(仙挑草), 내금초, 점박이풀
◆ 자생 : 자연산
◆ 식물 : 우리나라와 중국, 일본, 동남아시아, 남북미 등 온대와
열대지방에 널리 분포하는 대 극과에 딸린 한해 살이 풀이다.
◆ 특징 : ! 쇠비름과 비슷하지만 쇠비름보다 훨씬 작고, 풀밭이나
마당, 길옆에 더러 자라지만 작아서 별로 눈에 띄지 않는다.
줄기는 땅바닥을 기면서 자라고 줄기나 잎에 상처를 내면 흰 즙이
제법 많이 나온다. &n! bsp; 밑동에서 부터 많은 가지가 갈라
져서 땅을 덮으면 줄기에 털이 약간 있다.
가지는 보통 두 개씩 갈라지고 붉은빛이 돌며 잎은 길이는 5~10
밀리미터, 넓이 4~6 밀리미터의 긴 타원형으로 마주나며 가장자리에
가는 톱니가 있고 수평으로 펴져서 두줄로 배열된다. 꽃은 8~9월에
적자색으로 피고 열매는 가을에 까맣게 익는데 삭과로 털이 없고 달걀
모양이며 세개로 갈라진다.
▶비 단 풀
어떤 분이 아마존밀림 깊은 곳에 암에 효능좋은 약초가 있다기에
비행기타고 지구 반바퀴 돌고 험난한 정글속을 지나서? 갔답니다..
가서보니 그게 자기집 마당에 자라는 요 비단풀이었 답니다..
귀중한 자원입니다. 무심코 밟고 지나는 잡초라도 우리가 그
약효능을 모를뿐 입니다
▶ 효능 : 만성기관지염, 각종출혈, 황달, 설사, 치질 출혈, 독사에 물린 상처,
머리 부스럼, 소아 감적,적리, 혈뇨, 혈붕, 외상 출혈, 모유 부족, 옹종창독,
칼에 베인 상처, 자궁 출혈, 악창, 어혈, 이뇨, 위를 튼튼하게 하고 혈액순환을
촉진하며 해독작용하는데 애기땅빈대+ 땅빈대+ 큰땅빈대 등이 있다
비단풀은 대극과 대극속에 속하는 한해살이 풀이다. 대극속은 전세계에 약
1,600 종이 자라고 있다.
우리나라에는 약 11종이 분포되어 있다.
전원이나 빈터, 길가, 들판, 풀밭에 흔히 자란다.
열매는 삭과로서 납작한 달걀 모양이고 작으며 3 모서리가 있으며 털은 없다.
비단풀이 가장 왕성하게 자랄 시기는 옥수수를 처음 수확할 무렵이다.
비단풀에는 3가지가 있는데, 애기땅 빈대(애기 점박이풀)와 땅빈대(점박이풀)
는 땅에 바짝 붙어서 자란다. 큰땅빈대는 키가 20~60 센티미터 까지 자란다.
땅빈대와 애기땅빈대에 비해 잎이 크고 키가 높이 올라오며 삭과에 털이 있으므로
구분할 수 있다.개화기는 땅빈대와 큰땅빈대가 8~9월이며 애기땅빈대는 6~8월이다.
애기땅빈대, 땅빈대, 큰땅빈대 모두 약용한다.
비단풀의 채취는 여름, 가을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전초의 성분은 플라보노이드(quercitin 등), gallic acid, myoinositol 이
함유되어 있다. 잎에는 탄닌이 12.89% 함유되어 있다.
비단풀의 여러이름 비단풀의 다른 이름은 지금초(地錦草 : 가우본초), 지연(地聯,
야광:夜光, 승야:承夜: 오보본초),지금(地錦 : 본초습유), ! 플(醬瓣草: 경신옥책),
초혈갈(草血竭, 혈견수:血見愁, 혈풍초:血風草, 마의초:馬?草, 작아와단:雀兒! 쫙,
호손두초:(頭草: 본초강목), 박지금:撲地錦: 본초원시), 내화초(花草:식물명실도고),
내초(草, 내즙초: 草, 포지금: 鋪地錦, 포지홍:鋪地紅: 홍연초:紅蓮草: 복건민간초약),
반구와(斑鳩窩, 천과엽:天瓜葉, 삼월황화:月黃花: 민간상용초약휘편), 지봉초(地蓬草,
철선마치현: 鐵線馬齒?, 오공초:蜈蚣草: 강서민간초약), 내감초(?疳草, 홍경초:紅莖草:
절서민간초약), 홍반구와(紅斑鳩窩, 지마상:地馬桑, 홍사초:紅絲草, 양모초:凉帽草,
소창승시초:小蒼蠅翅草: 사천중약지),홍사초(紅絲草, 소홍근초:小紅筋草: 항주약식지),
선도초(仙桃草: 호남약물지), 연자초(蓮子草, 연골연자초:軟骨蓮子草, 구룡토주초:
九龍吐珠草: 민동본초), 지판초(地瓣草: 귀주초약), 분각초(糞脚草,분촉각:糞觸脚,
화피단:花被單, 혈경기:血經基: 상해상용중초약), 비단풀, 땅빈대, 애기땅빈대,
큰땅빈대, 점박이풀 등으로 부른다.
위와 같이 중국의 각종 의서들이 비단풀에 대해서 매우 다양한 이름을 붙여
주었다는 것은 그만큼 비단풀이 수천년동안 많은 사람들로 부터 애용되어
왔다는 부인할 수 없는 명백한 사실이라는 것을 말없이 증명해 주고 있는 것이다.
비단풀에 대해서 안덕균씨가 쓴 <한국본초도감>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대극과의 한해살이풀 땅빈대(Euphorbia humifusa Willd.)의 지상부이다.
性味 : 맛은 맵고 쓰며 성질은 평하다.
效能 : 청열이습(淸熱利濕), 양혈지혈(凉血止血), 해독소종(解毒消腫)
解說 ① 이질과 장염에 효과가 있고, ② 급성전염성간염으로 인한 황달에 쓰이며,
③토혈과 빈혈 외상 출혈에도 지혈 작용을 나타낸다.④ 습진과 화상에 짓찧어 붙인다.
성분 : 플라보노이드 화합물과 gallic acid 가 함유되어 있다.
비단풀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장독(臟毒)으로 인한 적백이질
비단풀을 채취하여 씻어서 햇볕에 말린 다음 가루내어 3.75g을 미음으로 복용한다.
[경험방]
2, 세균성 이질
비단풀 37.5g, 철현채(鐵?菜) 37.5g, 봉미초(鳳尾草) 37.5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단방 험방조사자료선편]
3, 적리(赤痢)가 멎지 않는 증상
비단풀을 햇볕에 말리고 갈아서 매회 7.5g씩 빈속에 미음으로 복용한다.[건곤생의]
4, 위장염
신선한 비단풀 37.5~75 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복건중초약]
5, 감기로 인한 해수
신선한 비단풀 37.5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복건중초약]
6, 해수로 인한 출혈, 토혈, 혈변, 자궁 출혈
신선한 비단풀 37.5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또는 벌꿀로 개어서 복용한다.
[복건중초약]
7, 소변혈림(小便血淋)
비단풀을 우물물을 넣고 짓찧어 복용한다. [유장춘견험방]
8, 중증의 자궁 기혈
어리고 연한 비단풀을 충분히 쪄서 기름, 소금,생강과 함께 술 1~2컵으로 복용한다.
혹은 그늘에서 말려 가루내어 3.75~7.5g을 생강과 술로 복용한다. [세의득효방]
9, 기능성 자궁 출혈
비단풀 600g을 달여서 찌꺼기를 버리고 바짝 졸여서 고약을 만들어 1회 6g을 매일
2회 백주(白酒)로 복용한다. [내몽고, 중초 약신의료법자료선편]
10, 도창상(刀槍傷: 칼이나 창에 찔린 상처)으로 인한 출혈이 멎지 않을 때
비단풀을 짓찧어 바른다. [세의득효방]
11, 치아의 출혈
신선한 비단풀을 깨끗이 씻어 달인물로 입안을 양치질한다. [귀주본초]
12, 습열로 인한 황달
비단풀의 전초 19~23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강서민간초약]
13, 비로(脾勞)로 인한 황달
비단풀, 양단초(羊?草), 도라지, 창출 각 37.5g, 감초 19g을 가루낸다. 오래된
식초 2사발,조반(?礬) 150g을 남비에 넣고 오래 끓인 다음 위의 가루를 넣고
밀까루를 적당히 가하여 익혀서 소두(소두) 크기의 환을 만든다.
1회 30~50알씩을 1일 2회 빈속에 식초끓인물로 먹는다.[건곤생의비온,여성환]
14, 유즙불통
수퇘지의 앞발 1개를 약한 불에 고아서 그 즙으로 비단풀 26g을 물로 달여 찌꺼기를
버리고 첨주(甛酒) 75g 으로 나누어 따뜻하게 해서 먹는다. [강서민간초약]
15, 소아 감적(疳積)
비단풀의 전초 7.5~11g을 닭의 간 1개 혹은 돼지 간 113g과 함께 충분히 쪄서 간과
즙을 복용한다. [강서 민간초약]
16, 항호(項虎: 대구창:對口瘡)
신선한 비단풀에 식초를 조금넣고 짓찧어 바른다. [복건중초약]
17, 옹창정독(癰瘡?毒)으로 인한 종통(腫痛)
신선한 비단풀을 깨끗이 씻어 산반립(酸飯粒),식염(食鹽)소량과 섞어서 환부에 바른다.
[천주본초]
18, 풍창(風瘡)으로 인한 개선(疥癬)
비단풀의 전초와 만강홍(滿江紅)의 전초를 함께 찧어서 가루내어 바른다.
[건곤생의비온]
19, 겸창난창(?瘡爛瘡)
비단풀을 가루내어 바른다. [귀양민간초약]
20, 대상포진
신선한 비단풀을 짓찧어 식초를 넣고 잘 섞어서 즙을 환부에 바른다.
[복건중초약]
21, 인후염으로 인한 부종 및 동통
신선한 비단풀 19g, 함산첨초(鹹酸甛草) 19g을 짓찧어 즙을 짜서
꿀에 담그어 두었다가,1일에 3회 복용한다. [천주본초]
22, 급성 결막염
비단풀을 끓인 액으로 씻는다. 혹은 돼지간과 함께 쪄서 복용한다.
[귀양민간약초]
23, 타박상으로 인한 종통(腫痛)
신선한 비단풀 적당량을 주조(酒糟)와 함께 잘 찧어서 밀가루를
조금 넣어 바른다. [호남약물지]
24, 뱀에 물린 상처
신선한 비단풀을 찧어서 환부에 바른다. [호남약물지]
25, 세균성 이질, 장염 및 기타 장관전염병(腸管傳染病)의 치료
중국의 강서, 강소, 절강, 산동성 등 일부 지역의 보고에 의하면
비단풀의 단방에 의한 세균성이질 1135 례, 장염 1940 례의 치료는
치료율이 95~98%였다.
투여량: 신선한 전초는 매일 약 100g, 말린 것은 약 50g을 투여한다.
用 法 : ① 탕제 : 100ml당 100 g의 생약을 함유한다.매회 50 ml씩
매일 3회 복용한다. 소아는 양을 적당히 줄인다.
② 팅크제 : 비단풀 500 gdp 30%의 알코올 1000 ml를 가하여 24시간
동안 담갔다가 성인은 매회 15~20 ml를 하루에 3회 복용한다.
③ 정제 : 비단풀의 달인 즙을 농축하여 과립으로 만든 다음 눌러서
정제를 만든다. 1 정은 비단풀 2.5g에 해당된다. 성인은 매회 4알씩
매일 3회 복용하고 소아는 적당히 감량한다.
④ 주사제 : 1m l당 생약 3g에 해당된다. 1회에 2m l씩 하루에 2~3회
근육 주사한다.주사 후 대부분의 경우 1~2일 내에 설사와 발열이 억제
되었다. 치료 기간은 최단 기간이 1일, 최장 기간은 ! SPAN>5일
이었다. 모두 부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장관전염병(腸管傳染病)의 치료에는 비단풀과 합제(合劑)로 쓸 수 있다.
① 비단풀 250g을 물로 달여서 1000ml의 탕액을 만들어 식힌후
복방장뇌(樟腦) 팅크제 2를 가하여 1회 100ml씩 매일 3회 복용한다.
급성 위장염 15례, 세균성 설사 5례의 치료에서 모두 효과가 있었다.
② 비단풀 75g, 청목향(靑木香) 15g을 100ml로 될 때까지 달인다. 3세
이상은 1회 15ml씩,3세이하는 10ml 씩, 매일 3회 복용한다.
심한 탈수 증상이나 산(酸)중독을 동반하는 경우에는 통상의 방법으로
보충액을 사용하여야 한다.소아의 단순성 소화 불량, 중독성 소화 불량,
급성 세균성 하리(下痢), 급성 장염을 89례 치료하였는데 치유 70례,호전
12례, 무효 7례였다 (임상보고 : 중약대사전]
26, 만성 기관지염
농축한 탕제 혹은 가루약을 사용하는데 1일 투여량은 말린 전초 약 15g에
해당한다.복용후 해수,객담(喀痰) 및 기천(氣喘) 등의 증상이 매우 경감
되었다.일반적으로 복방 치료를사용한다. (임상보고 : 중약대사전]
27, 객혈
매회 비단풀 15~20g을 물로 달여 아침 저녁으로 1번씩 복용한다.중,소
객혈에 효과가 비교적 좋고 대 객혈에 대해서는 효과가 조금 덜하다.
부작용은 없다. (임상보고 : 중약대사전)
비단풀은 맛이 맵고 쓰면서 떫으며 성질은 평하고 독이 없다.
열을 제거하고 해독하며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고 지혈하며 습열사를
제거하며 젖을 통하게 하는 효능이 있다.
황달, 장염, 혈변, 해수시의 출혈, 붕루,옹종정창(癰腫?瘡),설사,치질
출혈,독사에 물린 상처,머리 부스럼,소아 감적,적리, 혈뇨, 혈붕,외상
출혈,모유 부족,만성기관지염, 객혈,세균성 이질, 대상포진, 옹종창독,
칼에 베인 상처,자궁 출혈, 악창, 어혈, 이뇨, 위를 튼튼하게 한다.
하루 말린 것은 4~8g (신선한 것은 20~40그램)을 물 한되 즉 1.8리터
를 붓고 반으로 줄 때 까지 은은한 불로 달여서 복용한다.
또는 가루내어 복용하며 외용약으로 쓸 때는 짓찧어 도포하거나 가루내어
뿌린다. 또는 소아 감적에는 닭의 간과 함께 달여서 복용한다.젖의 분비가
부족할 때는 말린 비단풀 80~120그램을 물로 달여서 황주와 함께 복용한다.
痢疾에는 말린 비단풀 80~120그램을 물로 달여서 설탕을 넣어 복용한다.
오늘도 즐거운 날 보내세요. 繡菴 合掌
| | |
|